투자

상승쐐기형 패턴

간단한망상 2022. 8. 9. 12:20

비트 차트를 보니
상승 쐐기형 패턴을 보이기 시작했다.

위아래 고,저점들도 3개씩 나와서
지지선들이 신뢰도가 높아 의미가 있다.

상승 쐐기형 패턴이란
저점과 고점이 계속 높아지는 '지속형' 패턴이다.
매매 시점: 아래 선을 뚫고 내려갔을 때 숏
손절가 : 아래선을 다시 올라왔을 때 보다 살짝 높은 가격

*지속형 패턴 : 패턴 진입 시 하락장이면 하락을 지속하는 패턴


차트 패턴은
캔들, 거래량을 소개한 후에 다루려고 했었는데
의미 있는 선들도 나오고,
8월 CPI 발표 전이라 미리 소개하려 한다.

일반적으로 상승은 위아래 선이
평행한 채널을 그리면서 상승한다.


개미들은 보통 아래선에 닿을 때마다 추가 매수를 한다. (나중에 건강한 N파동에 대해 글을 쓰겠다.)

반면에 상승 쐐기형은
반등이 아래 평행 채널에 닿기도 전에 온다.


개미들은 아래 평행 지지선까지
가격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1에 반등하는 것을 보고
?!?!
음 다음에는 아래 지지선까지 오겠지

그러다 2에서 반등하는 것을 보고
빨리 타!! 나 빼고 다간다!

높아진 저점으로 개미들은
새로운 지지선(빨간 선)을 긋는다.
그리고 빨간 선에 닿을 때마다 추가 매수를 한다.


개미들은 1,2를 보고 상승 버스가 떠날까 봐
3에서 크게 매수를 할 것이다.

그러다 아래선이 꺠지면 어떻게 될까?

사람들은 상승이 끝났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고
이는 투매를 일으킨다. (마구 팔기)

물론 매수 심리가 엄청나서 위로 쏠 수도 있다.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면 어쩌란 말이냐?

현물은
아래선이 깨질 때 부분 매도 또는 전량 매도

선물은
아래선 깨질 때 숏 진입
손절가 : 다시 아래선을 위로 뚫고 올라온 가격 살짝 위 (리테스트가 많음)
1차 목표가: (숏 진입 가격 - 패턴 형성 시초가) 의 50%
2차 목표가: 숏 진입가격 - 패턴 형성 시초가

패턴 매매란
패턴이 나올 것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다.

패턴이 완성되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손절가를 두고
진입하는 것이다.

* 패턴 완성 예시: 상승 쐐기형은 아래 지지선 이탈

시장 심리를 분석하여
매매하는 패턴매매
나중에 자세히 쓰겠다.

이번 CPI 발표가 매우 기대된다.
과연 패턴을 완성할 것인지
아니면 찐반등임을 확인할 것인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투자  (0) 2022.08.12
지지선 / 저항선  (0) 2022.08.10
물타기 금지  (0) 2022.08.09
미래 예측  (0) 2022.08.08
트레이딩  (0) 2022.08.05